안녕하세요. 월리를 찾아서의 M.월리입니다.
이번에는 중대재해처벌법의 확장판인 "중대시민재해" 공중이용시설 및 공중교통수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중대재해처벌법은 종사자뿐만 아니라 해당시설의 이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"안전 및 보건사항"까지 관리하여야 합니다.
종사자의 범위를 벗어나 "사업주가 보유한 시설에서 기인한 사고 또한 예방"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.
2021.01.27 시행 예정인 중대재채처벌법 중 중대시민재해(공중이용시설 및 공중교통수단)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중대시민재해 사례
중대시민재해에 대한 사항은 "공중이용시설 및 공중교통수단"에 대한 안전 및 보건조치에 대한 관리 및 운영을 하여야하며, 해당 법률에서 정하는 조치를 하지 않은 경우 책임을 묻고 있습니다.
중대시민재해에 대한 범위는 모든 공중시설에 적용되지 않고 아래와 같이 어느정도 크기 및 업종에 따라 범위를 정하고 있습니다.
다중이용시설의 범위(시행령 제3조)
다중이용시설의 적용범위 및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.
시설물의 범위(시행령 제3조)
시설물의 적용범위는 아래와 같으며 기준은 따로 없습니다.
다중이용업소 영업장의 범의(시행령 제3조)
해당법률에서 정하는 23종의 업종의 영업장 중 바닥면적 1,000m2 이상인 곳에 대해 해당됩니다.
※ 다중이용업소 : 휴게음식영업, 제과영업, 일반음식점영업 등 영업을 위해 여러사람들이 모이는 장소가 해당
안전보건 인력 적정규모의 배치(시행령 제12조 제1호)
사업주는 안전계획 시행에 필요한 인력규모 및 그 편성여부를 확인하여야 하며 해당인원이 적정업무를 부여 받았는지를 직접 확인하거나 보고 받아야 합니다. 안전보건 활동에 필요한 적정인원을 배치함에 끝나지 않으며 그 인원이 실제 안전보건업무를 이행하는지에 대한 사항까지 포함되었습니다.
기존 "산업안전보건법"에서도 제조업 등 300인 이상 사업장에 대해서는 안전 및 보건업무를 전담하게 하고 있습니다.
이제는 안전 및 보건에 대한 전담인력을 채용한 후 다른 업무를 부여하지 않고 안전 및 보건의 업무에 집중하게 하여 중대시민재해를 예방 할 수 있는 기업문화가 정착되어야 합니다.
안전보건 예산의 편성 및 집행(시행령 제12조 제2호)
사업주는 안전계획 시행에 필요한 예산의 규모 및 그 편성여부를 확인하여야 하며 해당 예산이 목적에 부합하게 집행되었는지 여부를 직접 확인하거나 보고 받아야 합니다.
대부분의 사업의 경우 예산의 문제로 인해 안전보건과 직결된 안전조치 및 보수가 늦어지는 경우가 비일비재합니다.
이제는 사전에 이러한 사항까지 대비하여 적정한 예산을 수립하여 안전조치 및 보수가 즉시 이루워져야 합니다.
안전계획 수립 및 이행(시행령 제12조 제3호)
사업주는 아래의 사항을 포함한 안전계획의 수립 및 이행상태를 확인하여야 하며, 개정 산업안전보건법 "이사회 보고"사항을 참고하시면 안전계획을 수립하신다면 원화려하게 계획을 수립하실 수 있습니다.
- 안전과 유지관리를 위한 조직, 인원 및 장비의 확보사항
- 공중이용시설의 안전점검 또는 정밀안전진단의 실시
- 공중교통수단의 점검 및 정비
- 보수 및 보강 등 유지관리 사항
다만, 담당자가 관련 법령에 따라 관리계획 등을 수립한 경우에는 사업주 또는 경영책임자가 그 수립 여부 및 내용을 직접 확인하거나 보고받음으로써 이를 갈음할 수 있습니다.
위기관리대책의 수립(시행령 제12조 제5호)
만약 위기사항 또는 재해사항이 발생한 경우를 대비하여 비상대응시나리오를 작성하고 대피훈연을 실시하여야 합니다.
- 유해위험요인의 확인 점검 및 개선
- 유해위험요인을 발견한 경우 해당사항의 신고 조치요구 및 개선
- 중대시민재해가 발생한 경우 사상자 등에 대한 긴급구호, 중앙행정기관 대한 보고 및 원인조사에 따른 개선조치
- 대피훈련에 관한 사항
확인 점검 및 필요한 조치(시행령 제12조 제4호, 제6호, 제7호)
안전보건을 위해 수립된 사항들에 대해 아래와 같이 주기적으로 확인 및 점검을 실기하고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조치를 실시하여야 합니다.
- 2회/년 이상 시행령 제1호에서 제4호까지의 사항을 확인점검하고 필요한 경우 안전계획의 내용을 수정하거나 인력예산을 추가로 편성하여 집행하도록 하는 등의 필요한 조치를 실시하여야 합니다.
- 계획된 안전점검 등이 적절하게 수행되었는지를 직접 확인하거나 보고받아야 합니다.
- 공중이용시설 및 교통수단을 결함 등의 발견 한 경우 그 설계 제조에 대한 보완 요청 또는 보강 등 필요한 조치하고, 필요 시 이용을 제한하여야 합니다.
도급, 용역 및 위탁 시 확인 및 조치(시행령 제12조 제8호)
공중이용시설의 운영관리 업무를 도급, 용역 및 위탁하는 경우 아래의 사항을 확인하셔야 합니다.

- 재해예방을 위한 조치능력 및 안전관리능력 확보
- 공중이용시설 및 교통수단과 그 이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적정한 비용의 지급사항 확인
- 이용자 안전 확보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등 필요한 조치
안전보건 관계 법령(시행령 제13조 제1항)
중대재해처벌법에서는 "안전보건 관계법령"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아 해당사업과 관련한 업무와 관련된 법령을 사전에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- 공중이용시설 : 시설물안전법, 소방관계법, 전기공사업법 등
- 공중교통수단 : 철도안전법, 여객자동차법, 해운법, 항공산입법 등\
의무 이행 점검 결과 보고 (시행령 제13조)
1회/년 이상 안전·보건 관계 법령에 따른 의무 이행 여부를 점검하고 사업주에게 보고하여야 합니다.
중대재해처벌법 중 "중대시민재해의 공중이용시설 및 공중교통수단"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.
제가 작성한 포스팅이 여러분에게 좋은 정보가되었으면 좋겠습니다.
끝까지 읽어주신 분들 감사합니다.
이만 월리를 찾아서의 M.월리였습니다.
'etc.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걸으면서 돈버는 "THE SNKRZ" NFT 정보 (0) | 2022.03.27 |
---|---|
무료 채굴 에어드랍 코인 하이달러 : 하루 1달러 적립 (0) | 2021.12.05 |
중대재해처벌법 : 중대시민재해 (원료 및 제조물) (1) | 2021.09.19 |
중대재해처벌법 대응 (1) | 2021.09.09 |
위드코로나 (with Corona) (2) | 2021.09.07 |
댓글